카테고리 없음

주업종코드확인서 발급 및 조회 방법

nj56 2025. 9. 13. 19:00
반응형

사업을 운영하거나 정부 지원 사업, 대출, 각종 지원금 신청 시 주업종코드확인서가 필요할 때가 많습니다.
오늘은 주업종코드확인서 발급 및 조회 방법을 정리해드릴게요.


✅ 주업종코드확인서란?

주업종코드확인서는 사업체가 어떤 업종에 속하는지 나타내는 표준산업분류코드 확인서입니다.

  • 통계청에서 정한 표준산업분류코드(KSIC) 기준
  • 기업의 주업종을 명확히 하여 세무, 지원금, 정책사업 등에 활용
  • 특히 소상공인 지원금, 정부 정책자금, 금융 대출 심사에서 필수 제출 서류

🖥 온라인 주업종코드확인서 발급 방법

1️⃣ 국세청 홈택스 이용

  1. 홈택스 홈페이지 접속
  2. 로그인 (공동인증서, 간편인증 등)
  3. [조회/발급] → 사업자등록 상태조회
  4. 업종코드 확인 및 확인서 발급 가능

2️⃣ 통계청 KOSIS

  1.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접속
  2. 표준산업분류 검색 → 업종코드 확인
  3. 주업종코드 관련 조회 가능 (참고용)

3️⃣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홈페이지

  • 지원사업 신청 시 업종코드 입력 필수
  • 사업자등록번호 입력하면 업종 자동 확인

🏢 오프라인 주업종코드확인서 발급 방법

  1. 세무서 방문
    • 사업자등록증과 신분증 지참
    • 민원창구에서 주업종코드확인서 발급 요청
    • 즉시 발급 가능
  2. 관할 구청·시청 기업지원 부서
    • 지원사업 신청 시 직접 확인 및 발급 안내

📌 주업종코드확인서 조회 방법

  • 홈택스 : 로그인 후 사업자등록 상태조회 → 업종코드 확인
  • 정부24 : 사업자등록증명서 발급 시 업종코드 기재
  • 소상공인 지원 사이트 : 사업자번호 입력 시 자동 연동

⚠️ 주업종코드확인서 발급 유의사항

  • 업종코드가 변경되었는데 갱신하지 않으면 지원금 신청 시 불이익 발생
  • 부업종이 아니라 반드시 주업종 기준으로 확인
  • 정부 지원 사업마다 인정하는 업종코드가 다를 수 있음

✅ 정리

  • 주업종코드확인서는 사업자 업종을 증명하는 필수 서류
  • 온라인: 홈택스, 정부24,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
  • 오프라인: 세무서, 구청 방문 발급 가능
  • 정부 지원금, 금융 대출, 세무 관련 업무에 반드시 필요

👉 지원금 신청 전 반드시 본인의 주업종코드를 확인해 두시길 추천드립니다!
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