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주휴수당은 단순히 ‘정규직’만 받는 혜택이 아닙니다.
알바(아르바이트)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반드시 지급받아야 할 법적 권리입니다.
많은 고용주가 “시급에 포함됐다”, “너는 해당 안 된다”는 식으로 잘못 설명하지만, 주휴수당은 분명히 기준이 명확합니다.
1️⃣ 알바 주휴수당 지급조건 – 이 2가지만 기억하세요
✅ 조건 1: 주 15시간 이상 근로
- 시급제든 월급제든 관계없이
- 한 주 기준 총 근무시간이 15시간 이상이면 대상 가능성 있음
✅ 조건 2: 1주일 개근
- 해당 주의 약속된 근무일을 모두 출근해야 함
- 지각·조퇴도 일부 사업장에서는 ‘결근 간주’될 수 있으므로 주의
❌ 이런 경우는 제외
- 주 2~3일만 일하고 총 근무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경우
- 근무 첫 주, 중간 퇴사 주 등 불완전 근로 주
2️⃣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 – 시급제 기준 예시
💡 계산 공식
시급 × 1일 근무시간 = 주휴수당 금액 (주 1회 지급)
📌 예시
- 시급: 9,860원
- 1일 4시간 × 주 5일 근무 = 주 20시간
- 주휴수당: 9,860원 × 4시간 = 39,440원
📅 주휴수당은 일반 급여일에 포함되어 지급되는 게 원칙입니다.
3️⃣ 알바 주휴수당 실제 사례 & 주의할 점
👀 사례 1: "주휴수당 시급에 포함됐다고 들었어요"
→ 명시적 표시 없이 ‘시급 포장’만 했다면 불법입니다.
→ 급여명세서에 명확히 항목이 나눠져 있어야 합니다.
👀 사례 2: "지각했는데 주휴수당 못 받았어요"
→ ‘지각’ 여부는 사업장 재량이 크므로 출퇴근 기록 꼭 남기세요.
📎 급여명세서, 출퇴근 스케줄, 카톡 지시사항은 모두 증거입니다.
4️⃣ 주휴수당 관련 흔한 오해들 – 정확히 알아야 보호됩니다
❗ "수습 기간이라 안 줘도 된다?"
→ 아닙니다. 수습이라도 조건 충족 시 지급 의무 있습니다.
❗ "주휴수당은 회사 재량이다?"
→ 법적 기준에 따라 자동 발생하는 권리이며, 임의로 제외 불가합니다.
❗ "계약서 없으면 못 받는다?"
→ 근무 사실 + 개근 + 시간만 입증하면 계약서 없이도 신고 가능
✅ 마무리 – 알바도 주휴수당, 당당하게 요구하세요
주휴수당은 고용 형태에 상관없이, 근로자가 주 15시간 이상 성실히 일하면 반드시 지급돼야 하는 임금입니다.
소극적으로 넘기기보다 근로계약서 작성, 출퇴근 증거 확보, 명세서 요청으로 권리를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.
반응형